예창패 서류는 '사업계획서'이다. 여기서 합격하면 발표평가(대략 2배수)로 넘어가기 때문에, 합불을 판가름하는 정말 중요한 서류라고 볼 수 있다.
(양식은 k-startup 공고에 있다). 과제번호는 예창패 서류 신청하면 자동으로 발급된다. 나 역시 일단 임시 신청한 후, 과제번호 확인한 후, 서류 재업로드 했다.
나는 I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사업아이템을 지니고 있었다. 사업아이템은 21년 11월에 구상되었고, 12월부터 서류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 신청분야 : 일반분야
- 사업분야 : 지식서비스
- 기술분야 : 정보통신(앱)
- 나 = 대표 / 직원 1명 = 개발자
- 범주 : 서비스 플랫폼
- 가점사항 : 없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서류 작성 팁(100% 정답 아님)
1. 기본. 평가위원이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 그래서 여러 사람한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주변지인 + 전문가(네이버 엑스퍼트나 크몽 등을 통해 멘토 조언가를 찾으면 좋을 것 같다))
- 이유 : 창업가는 해당 아이템에 대해 많은 고민과 자료조사를 하여 충분히 알고 있으나, 처음 듣는 사람은 아무 것도 모른다. 자만하지 말고 부끄럽더라도 내 계획서를 노출해야한다.
2. 사업계획서는 정성적, 정량적인 근거로 사업의 타당성을 하나하나 명확히 이해시키는 서류이다. 그러니 에세이나 수필처럼 진술형식으로 쓰는 것 보다 ~~했음. ~~함. 이런 식으로 쓰는 게 맥락 상 좋을 듯 하다.
3. 자사 서비스가 뛰어남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경쟁사 비교는 표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 같다. 카테고리는 사업 아이템마다 다를 것이지만 이미지, 제품 특징, 타겟, 장점, 단점, 제공가치 등 구별되는 지점을 짚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 예창패의 1차 목적은 지원금을 통해 시제품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자사가 협약 기간 내 충분히 시제품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면 좋다.
<그 외>
- 서비스 흐름도(flow)도 그림이나 이미지로 보여주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 문제 제기를 했다. 그러면 역으로 생각해보면 좋다. 우리 서비스가 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
- 팀 구성 주의사항. 블라인드 평가이기 때문에 절대 신분이나 소속집단(회사, 학교 등)을 밝혀선 안 된다.
아마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창업에 열정이 있고, 세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싶은 열망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만큼 더 다양한 창업 후기를 보고, 직접 실천하면서 본인의 이야기를 써 내려간다면, 사업과 함께 점점 발전해 가는 내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글에는 발표평가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본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예창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 신분으로 창업하기 - 3. 예창패 발표 평가 (0) | 2023.06.26 |
---|---|
대학생 신분으로 창업하기 - 1. 예창패 합격! (0) | 202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