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3)
서비스 역기획 - 2(feat. Farfetch) 최근에 한화솔루션에서 e커머스전략팀(명품/패션 분야) 인턴에 지원하고자 해당 산업을 공부했었고, 그 과정에서 눈에 띄었던 서비스가 바로 이 명품계의 아마존, 'Farfetch'(이하 "파페치")다. 파페치는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조차 정복하지 못한 명품업계의 온라인화에 성공했다. 어떻게 가능했을지 흥미가 생겨 역기획을 해봐야겠다 생각했다. 오늘을 여는 세상의 모든 패션 대표 JOSÉ NEVES(호세 네브스). 2007년 영국 런던 설립 어린시절 구두 장인인 할아버지 밑에서 의류와 패션 산업에 대해 공부 1990년대 중반 신발 사업, 이후 2001년 SIX London(신발, 액세서리 생산 및 유통 서비스) 설립 투자자 : 리치몬트(Richemond), 케링(Kering), 알리바바(Alib..
서비스 역기획 - 1(feat. 모두닥) 과거 창업경진대회 때 예방치과 서비스를 생각하면서 시장조사를 했었고, 모두닥은 그 과정에서 만났다. (광탈의 슬픔을 뒤로한 채) 상당히 체계적인 시스템과 좋은 UIUX를 지닌 이 서비스가 매력적이어서 역기획을 해봐야겠다 생각했다. 병원을 쉽게 검색하고 회원의 진료 예약 중계 및 실예약자 리뷰 열람 제공 서비스 대표 안무혁 비전 : 대한민국 국민(나아가 전세계 인류)이 질병으로 인한 두려움에서 자유롭게 하는 좌우명: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자 그리고 매순간 즐기자 현 모두닥 대표, 개발자이자 마케터 다른 사람 일하는데 간섭을 지양. 훌륭한 사내문화, 시스템을 만드는 것에 관심. 필요한 일이면 닥치는 대로 찾아서 함 서울대 의대 졸업, 전 대전시청 공중보건의사 근무 앞으로 이 서비스가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 ..
PM과 기획자의 차이(feat.디자이너, 개발자, 퍼블리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사람들에게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주고 싶다'라는 인류애적인 삶의 방향성이 생긴지도 2년이 지났다. 미래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해 조사하다보니 아리송한 직무 2개가 있었다. 'PM'과 '기획자'다. 그리고 어제, 맥비님의 PM강의를 듣고서 그 기준이 조금은 명확해졌다(여기서 PM은 에이전시 기준) 구분하기 전에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정의해보자(기업 상황마다 프로젝트 정의 다 달라짐,,,,) 프로젝트 과정 : 착수 - 설계 - 구현 - 검수 - 종료 1. 착수. 고객의 요구사항과 자사의 능력(인력, 비용, 일정) 확인, 협의하여 계약! 2. 설계. '프로젝트를 요러요러한 방식으로 구현시킬 것이다!!' 일정, 산출물 계획 3. 구현. 실제로 만들기 4. 검수. 구현된 것이 잘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