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stival

Pro꾸물거리기, Procrastinating

지금도 과제해야하는데, 그냥 무시하고 꾸물거리는 중이다.

블로그 글 쓰는 건 괜찮지 않나?

10분만에 쓰고 다시 과제해야지.


Procrastinating?

Definition : Delay or postpone action; Put off doing something.

 

과제가, 마감기한이 바로 내일인데 이제껏 아무것도 안 하다가 갑작스럽게 정신줄을 잡고 밤새가며 작업을 끝내는 모습.

 

모두 일을 미뤄본적 있을 것이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다행히 사람이라는 증거다. 로봇이 아니라는거다!

 

 

사실 꾸물거림은 사람의 인지적 방어기제라고 한다.

스트레스를 주는 과업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마음.

그래서 과제가 어렵거나, 막연하게 느껴지면 조금하다가 딴 생각부터 드는 이유다.

직관적인 설명. 우리 뇌의 자극적인 것에 쉽게 끌리는 원숭이가 내 몸을 통제한다.

 

TED; Inside the Mind of a Master Procrastinator | Tim Urban | TED 일부 https://www.youtube.com/watch?v=arj7oStGLkU&list=PLu5SQvkihdAvDu0uZHeKbNQAGrjt76Nj-&index=32

 

그렇다고 한들 매번 꾸물거리기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마감기한이 내일인데, 지금 시작한다고 해서 좋은 결과물을 기대하는 것도 양심에 좀 찔리니까. 

(아인슈타인이나 리처드 파인만 같은 천재의 두뇌를 가졌다면 조금은 자신있게 꾸물거렸을지도?)


그럼 어떻게하면 안 꾸물거리고 일을 착착 진행할 수 있을까?

 

1. 어렵고 큰 과업이라면, 지금 할 수 있는걸로 작게 쪼갠다.

TED - Why you procrastinate even when it feels bad

막연하고, 큰 과업일 수록 막연함과 부정적인 정서를 느낀다고 한다.

작게작게, 그러나 지금 할 수 있는 명확한 과제를 해 나가면 꾸물거림을 줄일 수 있다.

TED-Ed; Why you procrastinate even when it feels bad 일부 https://www.youtube.com/watch?v=FWTNMzK9vG4&list=PLu5SQvkihdAvDu0uZHeKbNQAGrjt76Nj-&index=4

 

 

2. 그 잘게 쪼개진 과제들 중, 쉽게 할 수 있는거부터 시작한다 -> 점진적으로 몰입의 상태로 들어가기!

스터디언 - 똑똑하지 않아도 따라하면 뇌가 뻥뚫리는 천재들의 루틴 (이윤규 변호사)

 

이윤규 변호사는 작은 성취동기를 통해 뇌에 보상을 줘야한다고 한다.

그렇게 우리 뇌는 몰입의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스터디언 똑똑하지 않아도 따라하면 뇌가 뻥뚫리는 천재들의 루틴 (이윤규 변호사) 일부 https://www.youtube.com/watch?v=5QjElfDFztU&list=LL&index=4

 

 

3. 오전에 한다.

스터디언 - 똑똑하지 않아도 따라하면 뇌가 뻥뚫리는 천재들의 루틴 (이윤규 변호사)

오전에 정신이 멀쩡한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진행한다.

아웃풋을 내는 일을 한다. 글을 쓴다거나, 작곡을 한다거나, 리서치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4. 오후엔 잘 쉰다.

 

오후에는 점심도 먹고 몸이 풀렸기 때문에, 집중이 잘 안 될 수도 있다.

이 때는 그냥 밖에 나가서 산책도 하고, 친구들도 만나면서 오히려 몸을 편안한 상태로 만들라고 한다.

그래야 우리가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이 때, 오전에 했던 일들을 생각하며 뇌에 지속적인 자극을 준다. 영감을 얻는 것!

 

Three B’s of Creativity: bed, bath, and bus.

우리가 휴식하는 이 세 공간에서 가장 창의적이게 된다고 한다.

https://perell.com/note/the-3-bs-of-creativity/

 

많은 연구에서 명상 역시 우리의 두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조승연의 탐구생활 - 김용 총재님의 말씀 인용; https://www.youtube.com/watch?v=nc2d8WT6Khg

조승연의 탐구생활-🇺🇸하버드? 서울대? 아이비리그 대학이 세계 최고의 인재를 배출하는 이유ft.前 세계은행 김용 총재)

 

23년도 2학기 SUNY Cortland에서 들은 수업 Human emotion, Prof. Eaton, 중 일부. https://www.verywellmind.com/an-overview-of-coherent-breathing-4178943

6 seconds in 6 seconds out breathing. 6초동안 숨을 들이마쉬고, 6초동안 숨을 뱉는 방법.

 

이 호흡법은 우리 몸이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 "Rest and Digest” conditions. 이완, 소화, 안정

 Sympathetic nervous system - "Fight and Flight” conditions. 긴장, 혈압, 가슴 뜀, 땀 배출

 


사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몰입과 꾸물거림을 없애는 전략을 세워야할 것이다.

 

 

지금의 나는 학교에서 진행하는 리서치 페이퍼 발표가 가장 큰 우선순위기 때문에, 또 아웃풋을 내는 작업이기 때문에 오전에 집중력 있게 끝내고,

오후에는 친구들을 만나거나 가볍게 책을 읽거나, 운동, 하고 싶은 공부를 하면서 리서치 페이퍼에 대한 영감이 자연스럽게 떠오를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결론이다.


 

10분은 무슨, 이거 쓰는데 1시간 걸렸다. 

다시 과제하러 가야겠다.

'Festiv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패 실패 실패 성공  (5) 2024.07.23
Everything  (0) 2024.04.14
오랜만에 끄적..  (0) 2023.06.26
코로나 확진(22.3.5)  (0) 2022.03.09
하남돼지집 아르바이트 후기(다니고 있음) - 1  (0) 2021.10.25